밸런스 위드인 365 (90포, 90일분)

AN004696 AN004539 섭취방법 1일 1회, 1회 1포를 직접 또는 찬 물· 찬 음료와 함께 섭취하십시오. 섭취 대상자 1) 평소 바람직하지 못한 식습관이나 부족한 운동량으로 장 건강이 우려되는 학생 · 현대인 2) 피로와 스트레스로 장 기능이 약화된 성인 및 중년 3) 잦은 다이어트와 신체의 변화로 장 기능이 저하된 여성 · 임산부 4) 배변습관이 좋지 않거나 음식을…

120,000
3,300원 (60,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수량

1

좋은 균주로 제대로 밸런스 위드인 365
좋은 균주로 제대로 밸런스 위드인 365

세계적인 SCI급 학술 문헌으로 검증된 프리미엄 균주 100%
세계적인 SCI급 학술 문헌으로 검증된 프리미엄 균주 100%

보장균수(CFU) 83억의  제대로 된 배합
핵심 균주 비중 90% 압.도.적
장 벽에 붙어 증식까지 하는 똘똘한 균주
유산균의 먹이*까지 함유된 신바이오틱스 포뮬러*
보장균수(CFU) 83억의  제대로 된 배합
핵심 균주 비중 90% 압.도.적
장 벽에 붙어 증식까지 하는 똘똘한 균주
유산균의 먹이*까지 함유된 신바이오틱스 포뮬러*

대장 서식, 소장 서식 균주 배합 멀티바이오틱스 포뮬러
대장 서식, 소장 서식 균주 배합 멀티바이오틱스 포뮬러

산소와 습기로부터 유산균을 지키는 4겹 안심 포장
산소와 습기로부터 유산균을 지키는 4겹 안심 포장

뉴트리라이트만의 꼼꼼하고 철저한 생산관리
뉴트리라이트만의 꼼꼼하고 철저한 생산관리

AN004696

나에게 딱 맞는 유산균 찾기 장 건강 밸런스를 위해 가족들은 각자에게 맞는 제품을 찾고 있어요.
저는 장 건강이 걱정이에요. 요즘 이너케어에 관심이 많아요. 저는 요즘 다이어트 때문에 고민이에요. 요즘 쉽게 지치는것 같아요.
뉴트리라이트 가이드맵을 통해 꼭 맞는 제품을 알아봐요.
수험생활 중 떨어진 정상적인 면역 기능이 걱정인 아들은 밸런스 위드인 이뮤니티 하루 한 캡슐로 장 건강과 정상적인 면역 기능까지 듀얼 케어
체지방 관리가 최대 관심사인 딸은 밸런스 위드인 슬림핏! 국내 최초 체지방 감소 유산균으로 장 건강과 다이어트를 한번에
이너 케어에 관심이 많은 엄마는 밸런스 위드인 더블유! 밸러스 위드인 더블유만의 3가지 핵심 균주 포뮬러로 소중한 이너헬스 케어
스트레스와 회식으로 장 건강이 좋지 않은 아빠는 밸런스 위드인 365!
뉴트리라이트 가이드 맵으로 나에게 꼭 맞는 제품 찾고 건강하세요~

AN004539

섭취방법

1일 1회, 1회 1포를 직접 또는 찬 물· 찬 음료와 함께 섭취하십시오.

섭취 대상자
  1. 1) 평소 바람직하지 못한 식습관이나 부족한 운동량으로 장 건강이 우려되는 학생 · 현대인
  2. 2) 피로와 스트레스로 장 기능이 약화된 성인 및 중년
  3. 3) 잦은 다이어트와 신체의 변화로 장 기능이 저하된 여성 · 임산부
  4. 4) 배변습관이 좋지 않거나 음식을 편식하는 어린이
주의사항
  1. 1) 질환이 있거나 의약품 복용 시 전문가와 상담 후 섭취하십시오.
  2. 2) 알레르기 체질 등은 개인에 따라 과민반응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3. 3) 어린이가 함부로 섭취하지 않도록 일일섭취량 방법을 지도하십시오.
  4. 4) 이상사례 발생 시 섭취를 중단하고 전문가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5. 5) 제품의 개봉 및 섭취 시 포장재의 절단면에 상처를 입을 수 있으니 주의하십시오.
  6. 6) 어린이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하십시오.
보관방법

직사광선을 받지 않는 건조하고 서늘한 곳에 보관하십시오.

제품 정보

미생물 일러스트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란

적정량 섭취하였을 때, 신체에 건강 상 유익한
기능을 주는 살아있는 미생물입니다.출처 : WHO 세계보건기구

프로바이오틱스의 분류

균주(strain)란? 유전자 염기서열 정보가 완전히 밝혀졌으며, 수많은 연구를 통해 보다 정확한 특성이 밝혀진 프로바이오틱스를 말합니다. 속명(Genus), 종명(Species), 다음에 기재되는 균주명(Strain)까지 모두 표기된 프로바이오틱스 명명법에 따라 구별 가능하며, 균주 고유의 기능에 대해 질적 · 양적으로 풍부한 연구가 이루어진 균주인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속 属(Genus):Lactobacillus, 종 種(Species):acidophilus, 균주 菌株(Strain):NCFM
속 属(Genus):Lactobacillus, 종 種(Species):acidophilus, 균주 菌株(Strain):NCFM

좋은 프로바이오틱스의 기준
  • POINT 01
    과학적으로 검증된 균주
    프로바이오틱스 균속과 균종은 물론, 수많은 SCI 급의 유익한 연구를 통해 그 특성이 확인된 균주인지 확인하세요.
  • POINT 02
    뛰어난 생존력과 부착력
    장까지 안전하게 살아가는 뛰어난 생존력과 유해균과의 경쟁에서 이겨 장 벽에 착 붙는 우수한 장 부착력을 가진 균주인지 꼭 확인하세요.
  • POINT 03
    까다로운 배합
    식물성 원료인 치커리 뿌리에서 추출한 이눌린(부원료)가 함께 함유된 배합을 확인하세요.
  • POINT 04
    비피도박테리움의 비율
    전체 보장 균주 중 성인이 될수록 감소하는 비피도박테리움균의 비율이 얼마나 되는지 확인하세요.

건강 정보

본 정보는 일반 건강 정보이므로 특정 제품과 관련이 없습니다.

우리 장에는 좋은 역할을 하는 유익균과 독소를 내뿜는 유해균이 있습니다.
건강한 장을 유지하려면 장내에서의 유익한 균과 유해한 균의 비율,바람직한 장내세균총이 자리 잡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그러나 여러 이유로 인해 정상세균총의 균형이 깨지면, 장의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게 됩니다. 장이 건강한 것은 전체적인 건강의 시작이자 기본입니다.

일하는 장 일러스트

장의 표면적 넓이는?
400 m2
장은 약 120평이나 되는 넓은 표면적을 가졌으며 외부로부터 유입된 물질들이 접촉되는 주요 기관입니다.
사람의 장 120평 일러스트

장내 면역 세포량은?
70 %
장에는 면역 세포의 70 %가 존재하고 있어 장 건강이
전체적인 건강의 기본입니다.
장내 면역 세포량 70% 일러스트

미생물의 개수는? 미생물의 종류 수는?
100조 & 100종
우리 장에는 우리 몸과 공생관계를 이루고 함께 살아가는
100종류 이상의 균이 100조 개 이상이 살고 있습니다.
100종 이상 & 100조 개 이상 미생물 일러스트

장의 특성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질들이 접촉되는 주요 장소로, 소장에서 소화나 흡수가 되지 않은 일부 비타민과 미네랄 그리고 수분이 흡수되는 곳입니다.
미네랄 흡수 + 비타민 흡수 + 수분 흡수

장의 중요성
장의 표면을 이루고 있는 점막에서는 음식물, 병원균 등 외부로부터 유입된 물질과 장내 미생물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집니다.
다양한 외부 자극으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을 하는 기관이기 때문에 장 건강은 전체적인 건강을 지키는 기본입니다.
미네랄 흡수 + 비타민 흡수 + 수분 흡수

비피도박테리움의 중요성
장내에는 다양한 미생물이 존재하지만 비피도박테리움은 장내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나이, 식이, 환경 등 외부적 요인으로 인해 장내 미생물 균 종 차이가 발생하여 장 건강 균형이 흔들리게 되고 유해균은 증가하게 됩니다.
또한, 한국인의 장내 대표 균종을 분석하였을 때 비피도박테리움은 건강한 유아에서 우세하고,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영유아 n=164 : 락토바실러스 5.49%, 비피도박테리움 52.46%, 박테로이데스 20.73%, 클로스트리듐 21.23% / 성인 n=214 : 락토바실러스 0.32%, 비피도박테리움 3.98%, 박테로이데스 66.16%, 클로스트리듐 29.59%

* Kook, Sun-Young, et al. “Characterization of the fecal microbiota differs between age groups in Koreans.” Intestinal research 16.2 (2018): 246.

나이가 들수록 비피도박테리움 보충은 장 내 항상성과 장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또 하나의 기본이 될 수 있습니다.
유익균, 비피도박테리움, 유익균

출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안전나라 기능별 정보 ‘장 건강’ 편
기능성평가 가이드라인 ‘장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음’ 편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 1999 Nov;277(5): g922-8

CN002109